김현희 | Hyunhee Kim
김현희는 한국 전통 가구와 규방 문화를 해체하고 재조합하는 방식으로, 젠더, 기억, 몸의 경계를 탐구하는 조형 작가이다. 아크릴, 알루미늄, 스틸, 플렉시글라스 등 비전통적 재료를 활용해 구축된 그의 작업은 ‘사물’과 ‘몸’, ‘과거’와 ‘미래’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감각적 은유와 미묘한 서사를 생성한다. 김현희는 사적 기억과 집단적 유산이 얽힌 물질성과 그 재현 방식을 끈질기게 되묻는다.
작가의 대표 연작인 《White Nostalgia》는 한국 전통 혼례가구나 장식장, 소반, 궤짝 등에서 출발하지만, 그 표면은 투명하거나 비어 있고, 색은 과하게 순백하거나 인위적으로 코팅되어 있다. 이는 기억의 보존이 아니라 기억의 불투명함, 혹은 ‘기억되기를 거부하는 과거’를 시각화한 시도이다. 특히 작가는 ‘여성의 방’ 혹은 ‘여성의 손길’을 상징해온 가구와 바느질, 자수 등의 요소를 중첩적으로 호출하면서도, 그것들을 오브제의 추상성으로 전환시킨다. 이로써 김현희는 전통을 단순히 재현하거나 계승하는 것이 아니라, 전통의 탈맥락화와 재배치를 통한 젠더적 실천으로 접근한다.
《Q-bang》, 《Ancient Future》, 《After Image》, 《BO》 등의 시리즈는 모두 이러한 작업적 문제의식의 연장선에 있다. 그는 가구의 구조적 형태를 부분적으로 해체하거나, 과도하게 확대하고 비정상적인 균형으로 재조합함으로써, 익숙한 사물에 대한 관습적 인식을 깨뜨린다. 나아가 공예와 디자인, 조형예술의 경계를 유연하게 넘나드는 방식으로, 일상의 감각과 기억의 감수성을 현대 조형 언어로 풀어낸다.
김현희의 작업은 한국의 근대성과 여성성, 산업화와 유산, 사물성과 추상성, 기억과 삭제 사이의 간극을 시각적으로 건드리며, 동시에 이 모든 요소를 ‘몸의 감각’으로 다시 묶어내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의 작품은 단순한 오브제가 아니라, 일종의 ‘위태로운 풍경이자 확장된 자화상’으로 기능한다. 이는 작가가 꾸준히 질문해온 “나는 누구의 방식으로 기억되고 있는가?”라는 물음과도 깊이 연결되어 있다.
Hyunhee Kim
Hyunhee Kim is a sculptor whose practice deconstructs and reconfigures the material legacies of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and domestic crafts, particularly those associated with women’s quarters and ritual objects. Utilizing unconventional materials such as acrylic, aluminum, steel, and plexiglass, Kim constructs objects that exist between the boundaries of body and thing, past and future. Her work engages with the porousness of memory, gendered labor, and the aesthetics of structural absence.
In her signature series White Nostalgia, Kim draws from the forms of bridal furniture, display chests, and wooden tables once common in Korean households. Yet these pieces appear hollowed, excessively coated in sterile white, or partially erased. They are not acts of preservation but visualizations of forgetting—of memories that resist being archived. Through her subtle interventions, Kim reclaims objects historically coded as feminine, shifting them away from decorative nostalgia toward abstract, poetic signification.
Her other series—including Q-bang, Ancient Future, After Image, and BO—extend this inquiry by physically destabilizing the furniture’s proportions, balance, and function. Legs are exaggerated, symmetry is disrupted, and surfaces alternate between transparency and opacity. In doing so, she dismantles conventional hierarchies between craft and sculpture, utility and contemplation, structure and fragility.
What emerges is not simply object-making, but a visual language of embodied memory. Kim’s work occupies the interstice between modernity and inheritance, femininity and erasure, abstraction and the domestic. Each work becomes a precarious landscape—part relic, part self-portrait—asking, “By whose terms am I remembered?”
학력
201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목조형가구학과 졸업
Education
2017 BFA Woodworking & Furniture Design, Hongik University, KR
개인전
2024 Q : 자기만의 방, 스페이스 수퍼노멀, 서울, 한국
2020 White Nostalgia, 소쇼룸, 서울, 한국
Solo Exhibitions
2024 Q : A Room of One’s Own, Space Supernormal, Seoul, KR 2020 White Nostalgia, SOSHO, Seoul, KR
단체전
2024 RE: Materials, 아트포랩, 경기
2024 까르띠에 Le Voyage Recommencé in Seoul, 석파정 서울미술관, 서울
2024 기원 : 백색의식,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 서울
2023 Merry Craft, Space B-E, 서울
2023 진주전통공예 비엔날레, 진주
2023 사적인 예술전, 미래농원(mrnw), 대구
2023 낙선재 유 : 이음의 요량 (K-헤리티지 아트전)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창덕궁, 서울 2023 Essay on memories, 2인전 – 플랫폼에이, 서울
2023 Not Just Furniture – 맨션나인&신세계백화점, 서울
2022 일상감각展 : 한중수교 30주년 기념전시, 서울
2022 그린레시피랩 – 그린피크닉, 북서울꿈의숲, 서울
2022 공예 연구 기획전 백자 : 어떻게 흙에다가 체온을 넣었을까, 서울공예박물관, 서울 2022 Materials (홍림회,목조형가구학과 동문회전) – 금보성 아트센터, 서울
2022 Mingle, Tune, Sustainability, H-pix,서울
2022 리모와 콜라보레이션 As Seen By 국제 전시, 서울, 베를린, 도쿄 등
2021 루이까또즈 콜라보레이션, Find Your Light, 플랫폼엘 , 서울 2021 연결된 기둥들(2인전), 킵인터치, 서울
2021 낮에뜬 달, 배렴가옥, 서울
2021 문제적 공예, 아트비트 갤러리, 서울
2020 서울공예트렌드페어,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서울 2020 미래의 명장전, 통인화랑, 서울
2020 아시아프 페스티벌, ASYAAF, 서울
2020 실재와 가상 그 경계에서, 수창청춘맨션, 대구
2019 미래와 꿈의 공예, 청주 공예 비엔날레, 청주
2019 설화수 아트 프로젝트, 설화수&서울문화재단, 서울 2016 일상의 행복, H-art 갤러리, 서울
2016 REBIRTH, Space B-E 갤러리, 서울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24 RE: Materials, Artfor Lab, Gyeong-gi, KR
2024 Cartier Le Voyage Recommencé in Seoul, Seokpajeong Seoul Museum, Seoul, KR
2024 White Wish<KI-WON : Blank Ritual> , The Westin Josun Seoul, Seoul, KR
2023 Merry Craft, Space B-E, Seoul, KR
2023 Jinju Traditional Crafts Biennale, Jinju, KR
2023 Private Art, MRNW, Daegu, KR
2023 Chang-deok Gung Nak Seon Jae : Korean Heritage Art Exhibiti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Seoul, KR
2023 Essay on memories – Platform A, Seoul, KR
2023 Not Just Furniture – Mansion9,Shinsegae, Seoul, KR
2022 Green Recipe Lab – Green Picnic, Seoul, KR
2022 SeMoCA(Seoul Museum of Craft Art) – White Porcelain, Seoul, KR
2022 Materials (Hong Lim Association) – KIM BO SEONG Art Center, Seoul, KR 2022 Mingle-Tune-Sustainability, Hpix, Seoul, KR
2022 Rimowa Collaboration ‘As Seen By’, International Tour, (Seoul, Berlin, Tokyo, etc.) 2021 Louis Quatorze Collaboration ‘Find Your Light’, PLATFORM-L, Seoul, KR
2021 Hyperlinked Columns, Keep In Touch, Seoul, KR
2021 Good After Noon, Premises of Baelyeom, Seoul, KR
2021 Problematic Craft, Artbit Gallery, Seoul, KR
2020 Craft Trend Fair, Korea Craft&Design Foundation, Seoul, KR
2020 Future Masters, Tong-in Gallery, Seoul, KR
2020 ASYAAF Festival, ASYAAF, Seoul, KR
2020 Boundary Between Real and Virtual, Suchang Cheongchun Mansion, Daegu, KR 2019 Future and Dream Craft,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Biennale, Cheongju, KR 2019 Sulwhasoo Art Project, Sulwhasoo & Seoul Cultural Foundation, Seoul, KR
2016 Everyday Happiness, H-art Gallery, KR
2016 Rebirth, Space B-E Gallery, Seoul KR
2016 Exhibition of Craft Competition, Ik-san Arts Center, Ik-san, KR
수상 및 선정
2020, 서울문화재단 최초예술지원 선정, 서울문화재단, 서울
2019 청주 국제공예 공모전 입선,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조직위원회, 한국
2016 익산 전국 공예대전 특선, 한국공예문화협회, 한국
Awards & Grants
2020, SFAC Art support program, Seoul Foundation for Art and Culture, Seoul, KR 2019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Award, Cheongju, KR
2016 Iksan National Craft Award, Ik-san, KR
소장처
2023 국립현대미술관 정부미술은행, 한국 2022 리모와, LVMH, 파리
2021 루이까또즈, 서울
2020 서울시 박물관과 작품소장, 서울, 한국 Collections
2023 Government Art Bank, KR
2022 RIMOWA, LVMH, Paris, FR
2021 LOUIS QUATORZE, Seoul, KR
2020 Seoul Museum Department, Seoul City, Seoul, 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