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희 작가는 익숙하고 퇴화된 과거의 이미지와 현대인들에게 자리 잡은 신소재성 재료를 결합하여 미래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작가는 가구가 일상의 한 부분이 되어 변화를 가져오는 느린 속도감을 가진 매체라는 점에 주목하고, 한국 전통 가구라는 연대적 매개체를 통해 스토리 텔링을 한다.
특히 과거 여성의 생활공간으로 쓰였던 ‘규방가구'(규방은 집 안의 공간을 의미)에 주목해 고전미를 현재의 가치로 재정의한다. 젠더 문제에 대한 고정관념으로부터의 해방, 소홀히 여기는 일상의 가치 재발견 등 일상의 문제에 대한 인식을 가구를 통해 표현한다.
김현희 작가는 조선시대 여인들의 생활공간과 가구에 주목하여 고전미를 현대적 가치로 재정의한다. 그녀의 가구는 투명하고 반투명한 소재를 사용하여 기존의 벽을 없애고,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지우고, 여성과 남성의 경계를 허물어 세상과의 소통을 시도한다. 또한 장식은 두껍고 강한 느낌을 주고 스스로 공중에 떠 있는 것으로, 생성된 경계의 권위에 의존하기보다는 조금 나약하고 불안해 보이더라도 스스로 서고자 하는 작가의 의지를 보여준다. 남자들에 의해. 작가는 공간에 내재된 사회 집단의 고정관념이 개인의 무의식 속에서 어떤 틀로 형성되는지를 되돌아보고, 시대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가구를 재해석하여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오브제를 만들어낸다.
Artist Hyun-hee Kim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the future by combining familiar and faded images from the past with modern materials. The author focuses on the fact that furniture is a slow-moving medium that becomes a part of daily life and brings about change, and tells a story through the solidarity medium of traditional Korean furniture.
In particular, she pays attention to ‘Gyubang furniture’ (Gyubang means the inner space of the house), which was used in the living space of women in the past, and redefines classical beauty as a present value. She expresses her awareness of problems in her daily life, such as liberation from stereotypes surrounding gender issues and rediscovery of the value of everyday life, which are taken lightly, through furniture.
Artist Hyun-hee Kim focuses on the living space of women in the Joseon Dynasty and women’s room furniture, redefining classical beauty as a modern value. Her furniture uses transparent and translucent materials to eliminate existing walls, erases the boundaries between inside and outside, and attempts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by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between women and men. In addition, the decorations give a thick and strong feeling and stand in the air by themselves, which shows the artist’s will to stand on her own, even if she looks a little weak and insecure, rather than relying on the authority of the boundaries created by men. The artist looks back on what frames the stereotypes of social groups inherent in space form in the individual’s unconscious, and reinterprets furniture that reflects the lifestyle of the times to break down boundaries and create new objects.
학력
201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목조형가구학과 졸업
Education
2017 BFA Woodworking & Furniture Design, Hongik University, KR
개인전
2024 Q : 자기만의 방, 스페이스 수퍼노멀, 서울, 한국
2020 White Nostalgia, 소쇼룸, 서울, 한국
Solo Exhibitions
2024 Q : A Room of One’s Own, Space Supernormal, Seoul, KR 2020 White Nostalgia, SOSHO, Seoul, KR
단체전
2024 RE: Materials, 아트포랩, 경기
2024 까르띠에 Le Voyage Recommencé in Seoul, 석파정 서울미술관, 서울
2024 기원 : 백색의식,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 서울
2023 Merry Craft, Space B-E, 서울
2023 진주전통공예 비엔날레, 진주
2023 사적인 예술전, 미래농원(mrnw), 대구
2023 낙선재 유 : 이음의 요량 (K-헤리티지 아트전)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창덕궁, 서울 2023 Essay on memories, 2인전 – 플랫폼에이, 서울
2023 Not Just Furniture – 맨션나인&신세계백화점, 서울
2022 일상감각展 : 한중수교 30주년 기념전시, 서울
2022 그린레시피랩 – 그린피크닉, 북서울꿈의숲, 서울
2022 공예 연구 기획전 백자 : 어떻게 흙에다가 체온을 넣었을까, 서울공예박물관, 서울 2022 Materials (홍림회,목조형가구학과 동문회전) – 금보성 아트센터, 서울
2022 Mingle, Tune, Sustainability, H-pix,서울
2022 리모와 콜라보레이션 As Seen By 국제 전시, 서울, 베를린, 도쿄 등
2021 루이까또즈 콜라보레이션, Find Your Light, 플랫폼엘 , 서울 2021 연결된 기둥들(2인전), 킵인터치, 서울
2021 낮에뜬 달, 배렴가옥, 서울
2021 문제적 공예, 아트비트 갤러리, 서울
2020 서울공예트렌드페어,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서울 2020 미래의 명장전, 통인화랑, 서울
2020 아시아프 페스티벌, ASYAAF, 서울
2020 실재와 가상 그 경계에서, 수창청춘맨션, 대구
2019 미래와 꿈의 공예, 청주 공예 비엔날레, 청주
2019 설화수 아트 프로젝트, 설화수&서울문화재단, 서울 2016 일상의 행복, H-art 갤러리, 서울
2016 REBIRTH, Space B-E 갤러리, 서울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24 RE: Materials, Artfor Lab, Gyeong-gi, KR
2024 Cartier Le Voyage Recommencé in Seoul, Seokpajeong Seoul Museum, Seoul, KR
2024 White Wish<KI-WON : Blank Ritual> , The Westin Josun Seoul, Seoul, KR
2023 Merry Craft, Space B-E, Seoul, KR
2023 Jinju Traditional Crafts Biennale, Jinju, KR
2023 Private Art, MRNW, Daegu, KR
2023 Chang-deok Gung Nak Seon Jae : Korean Heritage Art Exhibiti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Seoul, KR
2023 Essay on memories – Platform A, Seoul, KR
2023 Not Just Furniture – Mansion9,Shinsegae, Seoul, KR
2022 Green Recipe Lab – Green Picnic, Seoul, KR
2022 SeMoCA(Seoul Museum of Craft Art) – White Porcelain, Seoul, KR
2022 Materials (Hong Lim Association) – KIM BO SEONG Art Center, Seoul, KR 2022 Mingle-Tune-Sustainability, Hpix, Seoul, KR
2022 Rimowa Collaboration ‘As Seen By’, International Tour, (Seoul, Berlin, Tokyo, etc.) 2021 Louis Quatorze Collaboration ‘Find Your Light’, PLATFORM-L, Seoul, KR
2021 Hyperlinked Columns, Keep In Touch, Seoul, KR
2021 Good After Noon, Premises of Baelyeom, Seoul, KR
2021 Problematic Craft, Artbit Gallery, Seoul, KR
2020 Craft Trend Fair, Korea Craft&Design Foundation, Seoul, KR
2020 Future Masters, Tong-in Gallery, Seoul, KR
2020 ASYAAF Festival, ASYAAF, Seoul, KR
2020 Boundary Between Real and Virtual, Suchang Cheongchun Mansion, Daegu, KR 2019 Future and Dream Craft,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Biennale, Cheongju, KR 2019 Sulwhasoo Art Project, Sulwhasoo & Seoul Cultural Foundation, Seoul, KR
2016 Everyday Happiness, H-art Gallery, KR
2016 Rebirth, Space B-E Gallery, Seoul KR
2016 Exhibition of Craft Competition, Ik-san Arts Center, Ik-san, KR
수상 및 선정
2020, 서울문화재단 최초예술지원 선정, 서울문화재단, 서울
2019 청주 국제공예 공모전 입선,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조직위원회, 한국
2016 익산 전국 공예대전 특선, 한국공예문화협회, 한국
Awards & Grants
2020, SFAC Art support program, Seoul Foundation for Art and Culture, Seoul, KR 2019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Award, Cheongju, KR
2016 Iksan National Craft Award, Ik-san, KR
소장처
2023 국립현대미술관 정부미술은행, 한국 2022 리모와, LVMH, 파리
2021 루이까또즈, 서울
2020 서울시 박물관과 작품소장, 서울, 한국 Collections
2023 Government Art Bank, KR
2022 RIMOWA, LVMH, Paris, FR
2021 LOUIS QUATORZE, Seoul, KR
2020 Seoul Museum Department, Seoul City, Seoul, 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