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k Seo-bo | 박서보
예천에서 태어난 박서보(朴栖甫,1931- )는 홍익대 서양화과를 나와 1958년 ‘현대미협’에 가담한 후, ‘뜨거운 추상’으로 불린 앙포르멜 운동의 기수로 활동하며 향후 우리나라 현대미술계를 이끄는 중요 인물로서의 여정을 시작했다.
1961년 세계청년화가 파리대회에 참가한 후 박서보는 자신이 수용한 추상 표현주의 미학을 토대로 서양문화에 저항하는 원형질(原形質) 시리즈를 전개해 나갔다. 그리고 60년대 중반 현대인의 온갖 번잡스러운 형상의 본질을 고발한 허상(虛像) 연작을 거쳐 70년대부터 일명 ‘손의 여행’으로 불리는 묘법(猫法)시대로 접어들었다.
박서보의 초기 묘법은 캔버스에 유백색 또는 분청을 연상시키는 안료로 바탕을 만들고 젖은 상태인 화면에 연필 또는 철필로 일정한 길이의 선획을 반복적으로 그어 리듬을 만들어가는 방법이었다. 바탕과 그리기의 이원론적 충돌이 화면의 긴장감을 고조시키는 이 시기 작품은 무수히 반복되는 선긋기의 행위성을 통해 자신을 순화시켜 나가는 무위자연의 이념이 스며 들어 있다.
80년대부터 본격화된 후기 묘법은 이러한 선긋기(Drawing) 작업에 적합한 매재로 종이대신 전통 한지를 선택해 이루어진다. 그 결과 선긋기는 더욱 대형화된 화면속에 조밀한 패턴으로 반복되면서도 오히려 한지 속으로 자연스럽게 융해되어 바탕과 그리기가 일체화된 세계에 이르렀다.
박서보의 묘법 회화는 화가의 행위성이 끝난 시점이 곧 작품의 종결이라는 서구적 방법론을 넘어 그 위에 시간이 개입된 변화의 여정을 거친 후에야 인생과 예술이 완성에 다다른다는 깊은 동양회화 사상을 담아내고 있다.
Spirit, As Revealed through the Hidden
Lee, Dong-Suk
Curator/Pusan Metropolitan Art Museum
At the end of the sixties Park Seo-bo while professing concepts like ‘post image’ and ‘post expression’ initiated his ecriture (or myo=drawing bop=method in Korean) period. Up until the present time, ecriture has passed through several transformations in its methodological notions. From the outside the artist, who stands at a fixed, central location, has made a successful effort to secure the status of his monochromatic surface paintings. Simultaneously, internally Park has offered a convincing rational in a universal language for the evolutionary process of ecriture. Finally during these years the artist has shared with the public several pithy epigrams that summarize the methodological principles and spiritual state of ecriture. These descriptive phrases include ‘post image and post impression,’ ‘purposeless activity,’ ‘the anonymity of freedom from all distraction,’ ‘the destruction of the self through self-oblivion and moral training,’ and ‘the conquering of ki (ki=technique) by ki (ki=spirit).’
Park’s statement that ‘ki (spirit) masters ki (technique)’ is also an expression of his belief that mannerism can be overcome through ascetic training. Yet, in another way, it is also an explanation of the predominant characteristic of monochrome painting. In other words, that technique and process are linked to the methodology and spirituality of a work. In Park’s case also, the process of the work becomes a vital clue to inducing the intentions of the artist or the concept and spirituality of the work. Thus an analysis that connects process and form as well as methodology and spirit is a cogent way to approach an understanding of ecriture.
Early ecriture usually involved pencil drawings on a canvas painted with light gray oil paint, then these drawings were over painted with oil paints and then more pencil drawing was done on top of that-a process that was repeated indefinitely. Even at this stage the dualistic division between drawing and color had been resolved. In addition, matter and the physical body were used as a neutral intermediary between the act of painting and the canvas in establishing the sense of surface in the work.
In around 1982 Park Seo-bo moved to his ‘later ecriture’ period, which involved the use of hanji (the term literally means ‘Korean paper’ generally made of mulberry pulp) and water based paint.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later ecriture encompassed the notion of ‘concealment and revelation’ made by interrupted and multi-directional lines. It also included the idea of adapting the material nature of multiple strokes as a medium while at the same time the creation of an unlimited surface area. At this point the sympathetic activity between what the artist described as the ‘nature of the object’ and the ‘body’ became even clos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surpassed the level of response to approach a state of unity.
In Park’s recent works we find the artist continuing to use the notion and methodologies of later ecriture, but he shows an even higher level of restraint and asceticism in his canvases. In contrast to the compression of texture and reduction in the weave,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vertical patterns and the repetition emphasize the severity of the work. Naturally the uniform use of the black tone suggests monastic austerity and piety. This effect is not simply the result of the color black, but the deep spirituality of a color that approaches the light and air absorbing qualities of a fathomless swamp. The artist has sublimated two extreme opposites and arrived at a path to a spiritual vision of moderation and moral discipline he has long sought.
Ecriture has transformed, in a way that no other artistic technique has,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anji in a superb example of its adaptation into a modern grammar. Here the use of hanji does not stop with borrowing it as a material or a medium. Rather, the intent of the work is directly linked to the use of hanji while in a limited sense it is also connected to the spirituality the artist is striving for.
Hanji is highly permeable, absorbs liquids well and is an irregular medium. While it does have these passive qualities, it is also a medium that is suppler and allows for the possibilities of self-regulated creativity. The artist relies on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 of hanji and his principles of creativity are in tune with each other creating a rhythm of inactivity. With the body as a tool and activity as a medium, this process of approaching the material is always in the act of being until it is stopped and the rest is left to a ‘time of creativity’ to complete. The artist’s comment that ‘paper makes itself speak’ is related to this concept. The self-regulating qualities of the medium are respected to their utmost and by relegating the traces of the hand to a dormant position, in a state of inaction, the approach of activity and object, the body and material is effected.
One of the most remarkable aspects of Park Seo-bo’s later ecriture is that stroke and line take the lead in the modality of revelation. A pencil does not leave marks on hanji which has soaked up water based paint. Instead, the repeated strokes of the pencil leave a furrow while the pressure of these strokes pushes on the hanji serving to elevate the lines. Through this ‘latency’ comes manifestation and through concealment comes a revelation. The traces of the act became hidden as a base and on the surface of this base a natural ‘raising impression’ is cre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aspects made by the lines would not be possible on any material except hanji. The creative process for these lines is not drawn, but instead something that has occurred naturally on the hanji itself, in a dramatic reversal of base and drawing. This effect can be compared to the act of plowing a furrow where the plowed earth forms ridge lines in effect producing a type of landscape which combines the artificial and natural.
The artist has compared this result to paintings of the calligraphic school. In other words, line and surface, or the Western division between drawing and painting has been resolved, base and gesture have been reversed, and by fostering unity in another dimension a unique sense of surface has been created.
In the physical activity of the artist, in other words in his inclusion of line, we find an explanation of the mean that crosses between the opacity of matter and the translucency of spiritual vision. In that process the semi- translucent and neutralized space that is revealed is a medium, serving both as a middle ground and place for discussion between ‘natural and the artificial,’ ‘the world and the self,’ and ‘matter and concept.’
Here in the ecriture canvases ‘drawing’ by obliterating the traces of the act, reveals an invisible realm. The repetition of purposeless activity accumulates so the even the sense of time is compressed into the canvas and becomes latent. The realm of the invisible and supra time is exactly the ‘world of anti-matter’ and speaks to a certain spiritual state. The mind is emptied, concepts are erased, and even the physical traces are concealed. By doing so the things that are even more clearly revealed are principles that govern our world and the depths of the spirit.
For a long time ecriture consistently sought the synergy between object and act. In this way matter and body, self and the world, reached the point of complete unity. The desire for moral training and a methodology based on the mean, led to the crossing of culminating point. Thus in the original meaning of the term, a return to nature’s spiritual realm.
(This essay originally appeared in the catalogue produced for the exhibition entitled Korean Monochromism: Methods, Ideas, and Spirit held at the Pusan Metropolitan Art Museum from December 11, 1998 to March 2, 1999)
바이오그래피
1931 한국 경상북도 예천 출생
1954 홍익대학 미술학부 회화과 졸업
1962-9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교수(97년 정년퇴임, 이후 명예교수)
1977-80 재단법인 한국미술협회 이사장, 한국예술문화단체 총 연합회 부회장
1986-90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장
1994- 재단법인 서보미술문화재단 설립
2000 명예미술학 박사,홍익대학교, 서울
주요개인전
2019 조현 화랑, Busan [Forthcoming]
묘법, 갤러리 PERROTIN, 파리
지칠 줄 모르는 수행자,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18 박서보 묘법 1967-1976, 화이트큐브 갤러리, 홍콩
묘법, 갤러리 PERROTIN, 뉴욕
Pursuit of Inner Self, Art Issue Projects, 타이페이, 대만
2017 지그제그: 묘법 1983-1992, 화이트큐브 갤러리, 런던
2016 화이트 큐브갤러리, 런던
갤러리 PERROTIN, 홍콩
Empty the Mind: The Art of Park Seo-Bo, 도쿄화랑, 도쿄
티나 킴 갤러리, 뉴욕
2015 개인전, 조현화랑, 부산
박서보의 묘접: “에스키스-드로잉”, 노화랑, 서울
갤러리 PERROTIN, 뉴욕
2014 박서보 : 묘법전, 갤러리 PERROTIN 파리
G-SEOUL 14, 조현화랑 (Booth No. A16), 동대문 디자인 파크, 서울
2012 갤러리 신라, 대구
대구미술관, 대구
2010-2011회고전<박서보,한국아방가르드의 선구자 :화업60년>,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조현화랑, 부산
국제갤러리, 서울
2009 KIAF 2009 (한국 국제 아트 페어), 샘터화랑(Booth No.C-26), 코엑스, 서울
2008 “Empty the mind”, 아라리오 뉴욕, NEW YORK
KIAF 2008, Wellside Gallery, COEX/ 인도양홀, 서울
CIGE 2008, 갤러리 샘터, 중국 무역관, 베이징
2007 아라리오 베이징, 베이징
박 서보, ‘색을 쓰다, 경기도 미술관’, 안산
KIAF 2007, 갤러리 샘터 코엑스/인도양홀, 서울
CIGE 2007, 갤러리 샘터, 중국 무역관, 베이징
2006-7 Cabinet des Dessins, Musee De art Moderne, Saint-Etienne Metropole,Saint-Etienne
KIAF 2006, 갤러리 샘터, 코엑스/인도양홀, 서울
조현 갤러리, 부산
CIGE 2006, 갤러리 샘터, 중국 무역관, 베이징
SIPA2006, 한국판화진흥회, 예술의전당, 한가람 미술관, 서울
2006 중국 국제화랑박람회, 샘터화랑, 중국국제무역중심전청, 베이징
2005 상하이 예술 박람회 2005, 샘터화랑(Booth No.B35), 상하이 세계무역홀, 상하이
샘터화랑, 서울
중국 국제화랑박람회, 샘터화랑, 국무전람대청, 베이징
2004 갤러리 크세쥬, 서울
화랑미술제, 샘터화랑, 예술의 전당, 서울
제10회 MANIF 서울 2004, 예술의 전당, 서울
중국국제화랑박람회, 샘터화랑, 베이징중국과학기술박람회장, 베이징
2003 제9회 MANIF 서울 2003, 예술의 전당, 서울
2002 시공갤러리, 대구
ACE 갤러리 로스엔젤레스, LA
조현화랑, 부산
Melborne 아트페어, 샘터화랑, 호주 멜버른
갤러리 세줄, 서울
갤러리 현대, 서울
박여숙 화랑, 서울
Remba 갤러리, LA
2000 도쿄화랑, 도쿄
MANIF 6! 2000, 서울국제아트페어 「한국미술 대표작가」전, 예술의 전당, 서울
1999 갤러리 신라, 대구
시공갤러리, 대구
조현화랑, 부산
1998 도쿄화랑, 도쿄
1997 ACE 갤러리 로스앤젤레스, LA
박여숙 화랑, 서울
갤러리 현대, 서울
시공갤러리, 대구
Remba 갤러리, LA
1996 FIAC ‘96, 조현화랑, 파리
Basel Art Fair, 박여숙화랑, Messe 바젤, 바젤
조현화랑, 부산
시공갤러리, 대구
박영덕화랑, 서울
1994 박영덕화랑, 서울
Remba 갤러리, LA
도쿄화랑, 도쿄
1993 제8회 LA ART FAIR, 갤러리 월드, LA
NICAF YOKOHAMA’93(국제현대미술페어), 선화랑, 일본 요코하마
1991 회고전-朴栖甫 회화40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두손갤러리, 서울
갤러리 월드, 부산
갤러리 공간, 부산
1989 제4회 LA ART FAIR, 진화랑, LA
1988 현대화랑, 서울
1987 인공갤러리, 대구
1986 도쿄화랑, 도쿄(후기 묘법 시리즈 발표)
1985 INA갤러리, 도쿄
1983 공간미술관, 서울
1981 현대화랑, 서울
1978 도쿄화랑, 도쿄
1976 통인화랑, 서울
1973 무라마쓰화랑, 도쿄(묘법 시리즈 발표)
명동화랑, 서울
1970 서울화랑, 서울(유전질 시리즈 발표)
1962 국립중앙도서관화랑, 서울(원형질 시리즈 발표)
주요단체전
2015 아방가르드 아시아, 소더비 갤러리, 홍콩
아트 스테이지 싱가포르,Galerie PERROTIN,파리 & JOHYUN 갤러리,부산, 싱가포르
2014-2015 WORKING WITH NATURE, 조현화랑, 부산, 서울
2014 리움개관 10주년 기념전, [교감], 리움삼성 미술관, 서울
전면으로 부터 : 추상하는 단색화” 갤러리 Blum & Poe, LA
The Art of DANSAEKHWA, 국제갤러리, 서울
‘현대 단색화를 극복하다’, 한국 모노크롬 운동, 알렉산더 그레이 화랑, 뉴욕
2013 white & white -한국과 이탈리아 사이의 대화-, 깔로 빌로띠 미술관, 로마
2012 한국의 단색화, DANSAEKHWA: Korean Monochrome Painting, 전북도립미술관, 전북
2011-2012 <단색조의 회화.1> 공간퍼플, 헤이리, 파주
2010-2011 정신으로서의 선, 그 힘, 대전시립 이응노 미술관, 대전
2009 신호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MIXOGRAFIA – 혁신과 합작 -,the Vivian and Fordon Gilkey Center For Graphic Arts, Portland Museum,. 오르곤
The Color of Nature – 한국의 단색 회화 – Wellside 갤러리, 상하이
김창열, 박서보, 이우환 3인전 조현화랑, 부산
2008-9 초월적 미의 탐색 <2008 싱가폴 코리아 페스티발 한국 현대 미술전>,싱가포르 미술관, 싱가포르
2008 SIPA 2008, 샘터화랑, 예술의 정당 한가람 미술관, 서울
부산 비엔날레, ‘미술은 살아있다’ – 아이사 현대 미술의 리더들-, 부산시청전시실, 부산
<Korean Abstract Painting 1958-2008>, Seoul Metropolitan Museum of Art, 서울
2007 도시의 교차로 – 뉴욕,파리,서울-, 벨그라드 미술관, 벨그라드
움직이는 시(詩), 갤러리 바이엘러, 바젤
한국 현대미술의 계보, 이안 갤러리, 대구
융통성 있는 금기, 쿤스트할레 빈, 비엔나
2006 ‘박서보&이강소: Working With Nature’ (테이트 갤러리 리버풀)-14년 후, 갤러리 샘터, 서울
SIPA 2006, 한가람 미술관, 서울
아트 싱가폴 2006, 이화익 갤러리, 싱가폴
‘정착된 像’, 갤러리 SP, 서울
멜버른 아트 페어 2006, 갤러리 샘터, 멜버른
아트`06 시카고, UM 갤러리, 시카고
아트 페어 볼로냐, Galerie Dorothea Van Der Koelen Mainz, 볼로냐 전시 센터, Exhibition Center, 이탈리아 볼로냐
2005 전통과 시대정신 – 한국의 현대미술 -, 갤러리 헬호프, 갤러리 하나, 독일 크론베르크
상하이 예술박람회<한국당대예술특전>-박서보, 정창섭, 윤형근-, 상하이 세계무역홀, 상하이 Art Cologne New,
갤러리 마인츠 도로테아, 쾰른
한국 모노크롬 회화- 박서보, 이우환, 김기린, 윤형근-, 갤러리 마인츠 도로테아, 마인츠 독일
예술& Issue-중한예술교류전-, Soka 당대공간, 베이징
2005 화랑미술제, 샘터화랑, 진화랑, 갤러리 세줄, 예술의 전당, 서울
한국현대미술,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박서보ㆍ 김창렬 2인전, 갤러리 현대 두가헌, 서울
공간화랑개관 30주년 기념전-from Modern to Contemporary-, 부산공간화랑, 부산
제4회 한국국제아트페어, 샘터화랑, 코엑스/인도양홀, 서울
개관35주년 기념-Modern & Contemporary Masters-PartⅡ, 갤러리현대, 서울
ART’ TAIPEI 2005, Soka 아트센터, 타이페이 세계무역중심전람3관, 타이페이
UM갤러리 이전개관기념전: ON Line+OFF Line, UM갤러리, 서울
2004 세계화평미술대전, 리우하이수미술관, 샹하이
샹하이국제아트페어 2004, 진화랑, 샹하이세계무역홀, 샹하이
MELBOURNE아트페어2004, 샘터화랑, 멜보른
ART’04 CHICAGO at Navy Pier, 박여숙화랑, 시카고
한국의 평면회화. 어제와 오늘, 서울시립미술관,서울
제3회 한국국제아트페어, 샘터화랑,코리아 아트갤러리, 코엑스/인도양홀, 서울
중국국제화랑박람회특별전: 한국현대미술거장전, 베이징중국과학기술박람회장, 베이징
중국국제화랑박람회, UM갤러리, 베이징중국과학기술박람회장, 베이징
박여숙화랑개관20주년 기념전〈함께한 20년〉, 박여숙화랑, 서울
2003 전통과 혁신-한국현대미술의 세계화, 갤러리현대, 서울
2003 화랑미술제, 샘터화랑, 예술의 전당, 서울
ART COLOGNE 2003, 박여숙갤러리, 쾰른
샹하이 국제아트페어, 조현화랑, 샹하이 세계무역홀, 샹하이
제6회 Triennale Mondiale D’Estampes Petit Format 2002, Chamalieres 프랑스
FIAC 2003, 시공화랑, 파리
제2회 한국국제아트페어, 샘터화랑, 조현화랑, 코엑스/인도양홀, 서울
ART’03 CHICAGO at Navy Pier, 박여숙화랑, 시카고
ART’03(Daegu Art Expo 2003), 조현화랑, 갤러리신라, Expo, 대구
전통과 혁신(3), 베를린시립동아시아미술관, 베를린
백색스펙트럼-조선백자와 한국현대미술, 조선관요박물관, 광주
2002-3 추상미술의 이해,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현대미술의 전개 1970년대 중반-1980년대 중반 「사유와 감성의 시대」,국립 현대미술관, 서울
2002 제1회 한국국제아트페어, 조현화랑, 갤러리 칸지, 부산콘벤숀센터, 부산
진화랑 개관 30주년 기념「한일현대미술 2002」전, 진화랑, 진아트센터, 서울
ART COLOGNE 2002, 박여숙 화랑, 쾰른
ART 2002 CHICAGO at Navy pier, 박여숙 화랑, 시카고
Basel Art Fair, 갤러리 현대, 바젤
샌프란시스코 아트 페어, 박여숙 화랑, 샌프란시스코.
미완의 세기, 도쿄 국립 근대 미술관, 요미우리 신문 공동주최, 도쿄.
작가를 찾아서 – 한국미술의 마에스트로, 금호미술관,
월간미술 공동기획, 서울
ART PALMBEACH, 박여숙 화랑, 팜비치
POST ART FAIR, 박여숙 화랑, 서울
2001 ART COLOGNE 2001, 박여숙 화랑, 쾰른
한국 현대미술의 전개: 1970-90, 갤러리 현대, 서울
묘오의 그림자, 갤러리 사간, 서울
제8회 국제 Works on Paper 페어 2001, 샘터화랑, 시드니.
Super PHAT, Cypress대학미술관, Cypress CA.
한국 현대미술의 전개 : 전환과 역동의 시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ART 2001 CHICAGO At Navy Pier, 박여숙 화랑, 시카고.
ART MIAMI 2001, 박여숙 화랑, 마이애미.
ART PALMBEACH 2001, 박여숙 화랑, 팜비치.
2000 ART COLOGNE 2000, 박여숙 화랑, 쾰른.
2000 년 현대미술 12인전, 선화랑, 서울.
샌프란시스코 아트페어, 박여숙 화랑, 샌프란시스코.
한국과 서구의 전후추상미술 : 격정과 표현, 삼성미술관, 서울.
MELBOURNE 아트 페어 2000, 진화랑, 멜보른.
구상·비구상 전, 가나 아트센터, 서울.
스스로 자 그러할 연 자연 What is so of itself, Posco미술관, 서울.
「한국현대미술의 시원」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人+間」 광주 비엔날레 2000 : 특별전 「한일 현대미술전」, 광주 시립미술관, 광주.
1999-75 에꼴·드·서울, 국립현대미술관, 관훈미술관, 서울.
1999 한국미술 50년 : 1950-1999, 갤러리 현대, 서울.
NICAF TOKYO ‘99, 진화랑, 박영덕화랑, 도쿄.
침묵의 화가들, 아시아 미술관, 니스.
1999-98 한 · 일 현대미술전 -우리와 타자사이,
메구로구 미술관, 도쿄· 국립국제미술관, 오오사카· 미술회관, 서울.
한국단색회화의 이념과 정신-박서보, 정상화, 이우환, 허황,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1998 침묵의 화가 – 8인의 현대작가- 몽벨이야르 미술관, 몽벨이야르 프랑스.
1997 FIAC ‘97, 갤러리 드니스 르네, 파리.
도쿄 국제 포럼·아트 콜렉션 「다양성의 배」전, 도쿄 국제포럼, 도쿄.
1996 SIAF ‘96(서울국제미술제), 갤러리 현대, 진화랑, 선화랑,
한국종합무역회관 종합전시관, 서울.
한국현대작가 – 丁昌燮, 金昌烈, 朴栖甫-, 도판 작품전, 도쿄화랑, 도쿄.
‘ 96중앙비엔날레(중앙일보사 주최),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추상회화의 정신」전, 호암갤러리, 서울.
BLACK & WHITE, 갤러리 서미, 서울.
1970년대 한국의 모노크롬전, 갤러리 현대, 서울.
1995 국내외 작가 52인전, 갤러리현대, 서울.
ART 1995 CHICAGO At Navy Pier, 갤러리 현대, 시카고.
1994 「현대미술 40년의 얼굴」 호암갤러리, 서울.
NICAF YOKOHAMA(국제현대미술 페어), 도쿄화랑, 진화랑, 일본 요꼬하마.
1993 한국미술 어제와 오늘전, 한림갤러리, 대전.
한국현대미술의 4인, 시공갤러리, 대구.
‘93 대전 EXPO 예술행사 <미래저편에> (퐁튀스 홀텐 선발), 대전.
한국 현대미술의 12인, 미야기껭 미술관, 일본 센다이.
1992 자연과 함께- 한국 현대미술 속에 깃든 전통정신, 테이트 갤러리, 영국 리버풀.
선묘와 표현 1992 현대 한국회화, 호암갤러리, 서울.
한국현대미술전 (시모노세키 시립미술관, 니이가다시 미술관, 가사마니찌도 미술관,미에껭 미술관), 일본.
1991 한국현대미술 25인전, 현대화랑, 서울.
제2회 TOKYO ART EXPO 1991, 두손갤러리, 도쿄.
개관기념 한국현대미술초대전, 선재현대미술관, 경주.
수장작품전 「모노크롬에서 모노크롬에」 도쿄도미술관, 도쿄.
현대한국회화전, 유고슬라비아.
선과 표현, 사이다마껭 근대미술관, 일본.
한국현대회화전, 자그리브 국립미술관, 유고슬라비아.
1990 가을·MURAMATSU전, 무라마쓰화랑, 도쿄.
80년대 미술100의 FORMS, INAX갤러리+나까하라 유스께, 도쿄.
1989 프랑스혁명 200주년 기념 24인 초대전, 파리 아트센터, 파리.
廣島·히로시마·HIROSHIMA, 히로시마시 현대미술관, 일본.
1988 제43회 베니스 비엔날레, 이탈리아 베니스.
현대미술과 올림픽-24회 서울올림픽 공식예술판화전, 로이트 신화랑, 서울.
제24회 서울 올림픽아트:국제현대미술제 주최 서울 올림픽 대회조직위원회,주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미술의 모더니즘:1970∼1979전, 무역센터 현대백화점 현대미술관, 서울.
현대회화 : 70년대의 흐름전, 워커힐 미술관, 서울.
한국의 4인, 도쿄화랑, 도쿄.
1987 아트LA ‘87 (제2회 국제현대미술제), 진화랑, LA.
한국현대미술에 있어서의 「흑과 백」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제3회 도야마 국제현대미술전, 도야마깽립 근대미술관, 일본 도야마.
제2회 LA ART FAIR, 진화랑에서 출품, 로스엔젤레스.
1986 현대의 「백과 흑」전, 사이타마깽립 근대미술관, 일본.
국립현대미술관 개관기념 「한국현대미술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86현대한국미술의 상황전(서울 아시아경기대회 조직위원회 주최), 서울.
‘86서울아시아현대미술전(서울 아시아경기대회 조직위원회 주최), 서울.
서울 – 파리전(한불문화협회 주최), 서울갤러리, 파리국립조형예술센터, 파리.
1985 휴먼도큐멘트 ‘84/’85, 도쿄화랑, 일본 도쿄.
현대한국인의 종이예술, 센트랄 워싱톤대학교, 미국.
극소화와 극대화전, 후화랑, 전화랑, 서울.
광복 40주년기념 「현대미술 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84 한국현대미술전 : 70년대의 조류, 타이페이시 미술관, 타이페이.
60년대의 한국현대미술-앵포르멜과 그 주변, 워커힐 미술관, 서울.
한국현대미술 8인의 흰색전, 주한 프랑스문화원 주최, 서울.
오늘의 미술-수장작품에서-파트Ⅰ’83콜렉션을 중심으로-, 도쿄 도미술관, 도쿄.
FIAC ‘84, 진화랑, 국립그랑팔레 미술관, 파리.
60년대의 한국현대미술전-파리 비엔날레 출품작을 중심으로-, 두손갤러리, 서울.
1983-82 현대·종이의 조형(한국과 일본)전, 국립현대미술관, 쿄도시 근대미술관,
사이타마깽립 근대미술관, 구마모도껭 전통민예관, 서울, 쿄도, 浦和, 구마모도.
1983 한국현대미술전:70년대 후반 -하나의 양상, 도쿄도미술관, 도지끼껭
근대미술관, 국립국제미술관, 호카이도립 근대미술관, 후쿠오카 미술관, 일본.
新漢城畵派대전(紙與造形專題), 春之藝廊, 타이페이.
1981 한국현대드로잉전, 브룩크린 미술관, 뉴욕.
1980 아시아 미술전 제2부 아시아현대미술전, 후쿠오카시 미술관, 일본 후쿠오카.
1979 한국현대미술 4인의 방법, 현대화랑, 서울.
한국현대미술·오늘의 방법, 한국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1978 한국 현대미술 20년의 동향,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제2회 파리 국제현대미술의 만남, 국립그랑팔레미술관, 파리.
1977-69 제1, 8회 까뉴 국제회화제, 프랑스 까뉴.
1977 한국현대미술 6인전, 무라마쓰화랑, 일본 도쿄.
한국·현대미술의 단면, 도쿄 센트랄 미술관, 일본 도쿄.
한국현대화전, 국립역사박물관, 타이페이.
한국·현대미술 수선 6인전, 갤러리보자아르, 일본 나고야.
1975 한국·5인의 작가 다섯가지 흰색, 도쿄화랑, 도쿄.
1975,65 제8, 13회 상파울로 비엔날레, 브라질.
1973 한국현대미술 1957∼1972 추상=상황전, 명동화랑, 서울.
한국현역화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72-71 한국현대회화전, 파리, 서독.
1972-69 한국현대회화전, 인도, 아프카니스탄, 네팔.
1970 EXPO ‘70 한국관 특별전시, 일본 오오사카.
1969-58 한국현대작가초대 공모전(조선일보사 주최), 덕수궁미술관, 서울.
1968 한국현대회화전, 도쿄국립근대미술관, 도쿄.
1967 EXPO ‘67 한국관 특별전시, 캐나다 몬트리올.
1966 극동 6개국 현대미술초대전, 메이시백화점, 뉴욕.
1965-62 제1회∼4회 문화자유초대전(세계문화자유회의 한국본부 주최), 서울.
1964-62 악뚜엘전, 서울.
1963 제3회 파리 비엔날레, 파리.
한국청년화가 4인전, 랑 베에르 화랑, 파리.
1962 제1회 사이공 국제비엔날레, 베트남 싸이공.
1961 세계 청년화가 파리대회 합동전(유네스코 국제조형미술 연맹프랑스국위원회 주최), 프랑스 파리,. 꽁삐에뉴.
1960-57 현대전, 현대미술가협회 주최, 서울.
1957 한국현대회화전, 월드하우스갤러리, 뉴욕.
주요 아트페어
Basel Art Fair, 바젤, 스위스
ART Chicago at Navy Pier, 시카고, 미국
Sanfransisco Art Fair, 샌프란시스코, 미국
Art Palmbeach, 팜비치, 미국
Art Miami, 마이애미, 미국
LA Art Fair, LA, 미국
Melbourne Art Fair, 멜버른, 호주
ART FAIR BOLOGNA, 볼로냐, 이탈리아
Art Cologne, 쾰른, 독일
FIAC, 파리
GIGE중국국제화랑박람회, 베이징, 중국
상하이예술박람회, 상하이, 중국
상하이국제아트페어
ART TAIPEPI, Taipei
NICAF YOKOHAMA, 요코하마, 일본
ART HK홍콩국제예술전, 홍콩
Art Singapore, 싱가폴
KIAF한국국제아트페어, 서울
SIPA서울국제판화사진아트페어, 서울
화랑미술제, 서울
주요수상
1999 제1회 「자랑스러운 미술인」상(창작부문), 한국미술협회, 서울
1995 제44회 서울특별시 문화상(미술부문), 서울특별시 주최, 서울
1994 문화훈장(옥관)
1987 제1회 예총 예술문화 대상(미술부문),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주최, 서울
1984 국민훈장(석류장)
1979 제11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미술부문: 대통령상), 문화공보부 주최, 서울
1976 제2회 중앙문화대상(예술부문), 중앙일보사 주최, 서울
1972 대통령표창, 서울
1961 세계청년화가의 파리대회(유네스코 국제조형 미술연맹 프랑스국 위원회 주최), 제1위, 파리
기타경력
주요미술관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서울워커힐아트센터, 서울
서울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Leeum 삼성미술관, 서울
서울후쿠오카시미술관, 후쿠오카, 일본
도쿄도현대미술관, 도쿄., 일본
오오하라미술관, 구라시끼, 일본
도야마껭근대미술관, 도야마, 일본
히로시마시현대미술관, 히로시마, 일본
선재현대미술관, 경주
서귀포시립 기당미술관, 제주도
신천지 조각공원 미술관, 제주도
시모노세키 시립미술관, 시모노세키, 일본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서울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POSCO미술관, 서울
미에껭미술관, 미에껭, 일본
한림미술관, 대전
토탈미술관, 서울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FNAC(Found National d’Art Contemporain), 프랑스
Biography
1931 Born in Ye-Cheon, Gyeong-Buk, Korea
Education
1954 Educated, Painting Dept. of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000 Honorary Doctoral Degree, Hong-Ik University, Seoul
1994 Founded Seo-Bo Art and Cultural Foundation, Seoul
Solo Exhibitions
2002 Gallery Hyundai, Seoul
Park Ryu Sook Gallery, Seoul
Remba Gallery, LA
Gallery Sejul, Seoul
Ci-Gong Gallery, Taegu
2000 Tokyo Gallery, Tokyo
Special Invited Exhibition: MANIF 6! 2000, Seoul Arts Center, Seoul
1999 Gallery Shilla, Taegu
Ci-Gong Gallery, Taegu
Jo Hyun Gallery, Pusan
1998 Tokyo Gallery, Tokyo
1997 Ace Gallery Los Angeles, LA
Remba Gallery, LA
Park Ryu Sook Gallery, Seoul
Gallery Hyundai, Seoul
Ci-Gong Gallery, Taegu
1996 BASEL ART FAIR(Park Ryu Sook Gallery, Messe Basel, Basel
FIAC ‘96(Jo Hyun Gallery) Espace Eiffel Branly, Paris
Jo Hyun Gallery, Pusan
Ci-Gong Gallery, Taegu
1994 Gallerie Bhak, Seoul
Remba Gallery, LA
Tokyo Gallery, Tokyo
1993 ART LA 93. The 8th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Fair, Los Angeles Convention Center(Gallery World), LA
NICAF YOKOHAMA ‘93(Sun Gallery), Yokohama
1991 ‘PARK, SEO-BO’s Painting: Its Forty Years’,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Duson Gallery, Seoul
Gallery World, Pusan
Gallery Kongkan, Pusan
1989 ART LA 89: The 4th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Fair, Los Angeles Convention Center(Jean Art Gallery), LA
1988 Hyundai Gallery, Seoul
1987 Inkong Gallery, Seoul
1986 Tokyo Gallery, Tokyo
1985 Ina Gallery, Tokyo
1983 Space Gallery, Seoul
1981 Hyundai Gallery, Seoul
1978 Tokyo Gallery, Tokyo
Tong-In Gallery, Seoul
1973 Muramatsu Gallery, Tokyo
Myungdong Gallery, Seoul
1970 Seoul Gallery, Seoul
1962 National Central Library Gallery, Seoul